[SQL] 엔티티 & 속성

2020. 5. 27. 22:30

정의: 변별할 수 있는 사물, 데베 내에서 변별 가능한 객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것, 정보가 저장될 수 있는 사람, 장소, 물건, 사건 개념 등

è  정의의 공통점:

명사에 해당, 업무상 관리가 필요한 관심사, thing이다.

Ex) 엔티티-> 학생

이 엔티티는 학번, 이름, 등록일자, 생일, 주소 등의 속성을 갖게 된다. 이러한 특성 가운데 공통 속성, 개별 속성이 있다.

엔티티는 인스턴스의 집합이다.

눈에 보이지 않는 개념 또한 엔티티이다.

 

엔티티와 인스턴스에 대한 내용과 표기법

 

 

엔티티의 특징

-       반드시 해당 업무에 필요, 관리하는 정보여야 함

-       유일한 식별자로 식별

-       영속적으로 존재하는 인스턴스의 집합

-       반드시 속성이 있어야 함

-       엔터티는 다른 엔터티와 관계가 최소 한 개 있음

But 너무 많은 엔터티 간의 관계 설정으로 인해 데이터 모델의 읽기 효율성이 저하되어 모델링 작업을 할 수 없는 경우도 생긴다.

 

엔티티의 분류

è  유무형에 따른 분류(유개사)

1)     유형 엔터티

2)     개념 엔터티

3)     사건 엔터티

è  발생 시점에 따른 분류(기중행)

1)     기본/키 엔터티

2)     중심 엔터티

3)     행위 엔터티(주문 목록, 사원 변경 이력 등)

 

엔터티의 명명

가능하면 현업 업무 용어 사용

약어 사용하지 않음

단수 명사 사용

유일하게 이름 부여

생성 의미대로 이름 부여

 

l  속성

정의 정리: 업무에서 필요함, 의미상 더 이상 분리되지 않음, 엔터티를 설명 인스턴스의 구성 요소가 된다.

 

엔티티, 인스턴스와 속성, 속성 값에 대한 내용과 표기법

이들의 관계

한 개의 엔터티는 두 개 이상의 인스턴스 집합

한 개의 엔터티는 두 개 이상의 속성을 갖는다

한 개의 속성은 한 개의 속성 값을 갖는다

 

속성의 특징

해당 업무에서 필요하고 관리하는 정보여야 함

정규화 이론에 근간하여 정해진 주 식별자에 함수 종속성을 가져야 한다

하나의 속성에는 한 개의 값만을 가짐

 

속성에 따른 분류

1)     기본 속성

가장 일반적, 업무로부터 추출한 모든 속성

2)     설계 속상

업무를 규칙화, 속성을 새로 만들거나 변형

3)     파생 속성

다른 속성에 영향을 받아서 (계산 값들)

 

엔티티 구성 방식에 따른 분류

PK속성: 엔티티를 식별

FK속성: 관계에서 포함된 속성

일반속성: 엔티티에 포함, but FK PK 포함 아님

 

도메인: 각 속성은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 존재, 이것을 그 속성의 도메인이라고 한다.

속성에 대한 데이터 타입과 크기, 제약 사항을 지정

 

속성의 명명

1.     해당 업무에서 사용하는 이름을 부여

2.     서술식 속성 명 사용x

3.     약어 사용은 가급적 제한

4.     전체 데이터 모델에서 유일성 확보

'Undergraduate Records' 카테고리의 다른 글

[PL] interpreter 구현하기  (0) 2020.05.29
[SQL] 관계 & 식별자  (0) 2020.05.27
[SQL]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0) 2020.05.27
[소소하게] 확통 강의 이수  (0) 2020.05.27
[소소하게] PL 강의 13주차  (0) 2020.05.25

BELATED ARTICL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