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4회차] C 숏코딩 문제 풀이
2020. 2. 7. 20:57
문제를 해결하기에 앞서 우선 문자열을 분리하는 것을 해 보았다.
&&는 모두 공통적이므로, 이것을 기준으로 분리한 다음, 연산자는 == 나 != 이기 때문에 이것에 기준을 두어 문자열을 분리했다. 그 다음 중요한 것이 처리이고, 트리 만들기이다.
트리 객체를 만드는 편이 더 쉬울 것 같아서 위와 같이 tree 객체를 만들어보았다. tree()만을 했을 경우에는 위와 같이 빈 루트와 빈 자식(3개의 공간을 가진)이 만들어진다. 배열 크기를 3이라고 책정한 것은 최대 자식이 3까지만 있어도 충분하다고 판단했기 떄문이다. 생성하고, 각각의 인덱스에 값을 세팅하고 리턴하는 메소드까지 구현을 하였다.
이제 이 트리를 가지고 union find의 기능을 구현해보아야 한다.
'Undergraduate Record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습 6회차] 카카오 코드 페스티벌 E 문제 해결하기 (0) | 2020.02.14 |
---|---|
[학습 5회차] 카카오 코드 페스티벌 문제 D문제 살펴보기 (0) | 2020.02.10 |
[학습 3회차] union find & 카카오 페스티벌 문제 C 숏코딩 (0) | 2020.02.07 |
[학습 2회차] kakoFestival 2018 예선문제 B (0) | 2020.02.04 |
[학습1회차] kakaoFestival 2018 예선문제 A (0) | 2020.02.03 |